환율 Exchange Rate : 양국의 통화를 서로 맞바꿀 수 있는 비율
환율의 결정 : 각국의 경제 펀더멘털과 수급
ETF : 달러원 환율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
ETN : 글로벌 주요통화 대비 달러의 강소를 추종하는 상장지수채권
기준통화 < USD KRW > 비교통화
환율 상승 :
.기준통화 강세, 비교통화 약세 1$/\1,000 → 1$/\1,200
.달러원 상승, 달러 강세, 원화 약세, 달러 상승, 원화 하락, 환율 갭업
환율 하락 : 기준통화 약세, 비교통화 강세 1$/\1,200 → 1$/\1,000
.달러 약세, 원화 강세, 환율 갭다운
기축통화 : 국제 외환시장에서 금융거래나 국제 무역결제를 할 때 기본 통화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을 거쳐 산업 발전 가속화, 종전 이후 전 세계 GDP 약 50%차지
금을 공용화폐로 통용되었는데, 미국이 약 70% 보유
국제 통화제도 마련을 위해 금과 달러의 가치를 고정, 각국 통화를 탈러와 일정한 비율로 고정
브레튼우즈 체제는 미국의 금 보유량 감소와 달러 발행 증가로 1971년 해체
안전 통화 | 위험 통화 | |
글로벌 위험 요인 부각 | 강세 | 약세 |
경제 회복기, 특별 위험 요인 없음 | 약세 | 강세 |
달러, 엔화 - 기축통화 - 초저금리·저인플레이션 통화 |
유로화(불안정한 일부 국가가 엮여) 호주 달러, 원, 위안, 루피, 헤알, 루블 신흥국 통화 |
캐리 트레이드 : 금리 낮은 통화로 자금 조달 -> 금리 높은 나라의 금융상품 투자
엔화를 안전자산으로 구분하는 이유
.초저금리·초저인플레이션 통화
.캐리 트레이드 통화, 글로벌 위험 요인 부각 시 달러보다 강세
.일본의 기술경쟁력 글로벌 상위 수준
.무역 흑자 지속
인플레이션 : 물가 상승, 소비자물가지수(CPI)로 확인
이종통화 cross currency
.달러가 아닌 여타통화들, 유로화/엔화 등
.원화 -> 달러 -> 엔화,유로화를 사는 2번 매매
.이중통화의 뱡향과 변동성을 예측하기 어려움
.미국과 우리나라 뿐 아닌 일본, 유럽의 경제 펀더멘털과 수급/금융/정책적 이슈의 분석 필요
.위안화는 원화와 다이렉트 거래
이종통화의 방향과 변동성
.브렉시트 이후 엔원80, 달러원28, 유로원12 상승
.엔원 : 엔화 > 달러 > 원 , 폭이 커짐
.유로원 : 유로 < 달러 > 원 , 폭이 적음
.달러엔 하락은 우리나라 기업의 가격경쟁력 상승으로 달러원 하락 흐름, 엔원 등락폭이 제한될 수 있음
.외부적 요인(해당 국가외 글로벌 리스크 요인)과 내부적 요인(기준통화국의 펀더멘털, 통화정책) 종합적으로 고려
환율제도
고정환율제(페그제) | 홍콩(달러), 사우디아라비아 |
관리변동환율제 | 중국, 러시아, 대만,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헝가리 |
변동환율제 | 한국, 미국, 유로존, 일본 등 대다수 |
고정환율제(페그제)
.자국통화를 특정 통화(주로 달러)에 고정시키는 환율제도
.개발도상국에서 시행
.안정적인 환율을 토대로 계획적인 무역거래와 해외투자를 유치할 수 있음
.중앙은행이 환율을 특정 레벨에 고정하여 기업은 수출 경쟁력 상승, 경상수지 흑자 유도
.국제수지 불균형이 발생하더라도 시장에 의한 자율조정이 안되며 물가가 불안정해서 마찰이 불가피해질 수 있음
.달러원과 홍콩달러원은 비슷한 움직임
외환시장 - 서로 연동되어 통화 간 적정 환율 도출
.현물시장(spot market) - 실시간 외화를 주고받는 거래
.선물시장(futures market) - 현 시점에서 미래 특정 시점에 외화를 주고받겠다고 계약
.스왑시장(awap market) - 서로 다른 날에 양국의 통화를 교환한다고 계약
.거래비용을 상회하는 괴리가 발생하면 시장 균형환율로 회귀
현물시장
.개인과 기업이 시중은행을 통해 외화를 바로 사고파는 시장
.매일 뉴스에서 외환시장 마감 후 환율이 얼마나 오르내렸는지 보도
선물시장
.위험 회피 목적인 헤지hedge, 투기speculation 거래가 주를 이룸
.불특정 다수와 거래하는 '장내 선물시장' , 투기 거래로 많이 이용
.장외에서 신용 또는 보증금으로 1:1거래하는 선물환시장(forward market)
스왑시장
.주로 기업 또는 금융기관들이 참여하는 시장
.환율과 금리 변동 위험을 회피하는 거래
.근시일 내 원화와 달러를 교환 후 일정 기간 후 정해진 만기에 처음과 동일한 환율로 재교환하는 계약
.'외환스왑' : 이자(양국의 금리)를 만기 환율에 반영시켜 교환
.'통화스왑' : 이자를 중도에 교환
.금융기관은 환변동 위험을 제거할 목적으로 이용
.기업은 자금조달 목적으로 '통화스왑' 이용, 국내 조달 비용 > 외화 조달 비용일 때
.금융시장 불안에 대비하기 위해 국가간에도 체결, 단기외채가 집중될 때 상대 국가에서 조달해 위기 회피
선물 환율 가격 결정 구조
.양국의 시장금리 차이를 근간으로 결정
.양국의 금리 전망과 스왑시장의 수급에 영향 받음
.1년뒤 환율(1Y선물환율) \1,100/$1 -> \1,116.50/$1.0225 = \1,091.93 (한국 금리 1.5, 미국 2.25%)
스왑포인트 : 선물환율 - 현물환율
.선물환율 > 현물환율 일때, 선물환 매수쪽은 포인트만큼 유리하게 계약할 수 있음
외환시장의 규모와 주요 거래 통화
.하루 평균 거래 규모 5조 달러
.영국, 미국, 싱가포르, 홍콩 순으로 많음
.달러 43.8%, 유로화 15.6%, 엔화 11.6%
.우리나라 외환시장의 거래 규모 하루 평균 478억 달러
.현물환거래가 42% 그중 76%가 달러원
현물환 시장 구분
.외환시장의 거래 주체는 크게 중앙은행, 금융기관, 기업, 개인
.대 고객시장 : 개인, 기업, 금융기관, 정부 / 은행
.은행 간 시장(interbank market) : 은행/은행
.cover deal 외에도 은행이 자체 보유한 자산을 거래하는 propriety trading
.뉴스, 언론에서 지칭하는 환율도 은행 간 시장에서 거래된 현물 환율의 종가
외환거래 체결 메커니즘
중개기관에 매수호가(bid), 매도호가(ask,offer) 내어 경쟁호가 방식으로 거래
매수,매도호가의 차이를 매매가격 차이 bid-ask(offer) spread
현물환율(spot rate) : 은행 간 시장에서 움직이는 환율
.우리가 사고팔 떄는 매매기준율에서 수수료가 가감된 환율
.기업에서 회계 처리 시 사용하는 '은행 최초 고시 매매기준율' = 전일 거래된 환율과 거래량을 가중평균 MAR 사용
외환거래의 목적과 특징
1) 중앙은행 : 외환시장의 과도한 쏠림을 방지하고 균형적인 환율 유지
2) 금융기관 : 은행은 대 고객거래를 위한 커버딜을 통해 고객 수수료를 챙김, 수익 추구
3) 외국인(비거주자) : 주로 주식과 채권 등 원화자산투자를 위한 실수요거래 또는 외환차익 등을 위한 투기거래
4) 기업 : 상품 수지를 구성하는 수요와 공급
5) 개인 : 해외여행 또는 물품 구입 목적
24시간 외환시장
한국의 현물 시장은 9:00~15:30
미국장은 오후 10:00~새벽 5시 마감
나머지 시간은 '역외선물환시장(NDF)' 와 '선물시장'
NDF는 싱가포르,런던, 뉴욕시장에서 24시간 거래, 선물시장은 23시간 거래
역외환율(NDF; Non Delivery Forward)
.서울 외환시장(현물장)이 끝나는 15시30분 이후 '달러원 NDF' 주로 거래
.달러원 환율은 현물시장과 NDF 시장을 거쳐 다시 현물시장으로 계속 순환
.포워드(forward) : 미래특정시점에 정해진 환율로 외화 실물을 사고파는(delivery) 선물 계약
.NDF거래는 포워드와 같지만 만기 이전에도 사고팔수 있고 차액정산만 함
.신용도 좋은 회원만 거래하여 결제불이행 위험과 거래 규제가 낮아 다양한 통화들이 NDF를 통해 거래
.글로벌 경제지표 및 일정들이 주로 유럽과 미국장 시간에 발표되어 NDF 시장에 영향
.역외세력이 순매수 -> 달러원 상승, 순매도 -> 하락
.헤지 거래와 투기거래 활발 wag the dog : NDF가 현물 시장에 영향을 끼치는 현상
.역외세력이 취한 포지션과 매매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환율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서
.한국은행은 외국인 투자자의 NDF 순매수·순매도 포지션을 분기마다 집계해서 공계, 후행지표지만 중장기 추세 가늠
환율 상승할 때 경제현상
가계 : 생필품 가격 상승, 기름값/냉난방비 상승 -> 가처분소득 줄고 소비 둔화
기업 : 원재료, 부품값 상승, 수출 증가 및 이익 증가 ->경상수지 흑자로 환율 하락 압력 작용 -> 외국인 자금이 우리나라 유입(환율 하락 요인) -> 임금 상승과 가계소득 증가(수입물가 상승 영향 상쇄)
국가 :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매도, 환율 변동성 완화
.단기 대외채무가 있을 경우, 채무평가액이 증가 -> 국가신용도 하락 -> 외국인 투자자 이탈 촉발 - > 비정상적인 환율 급등 초래
환율 하락할 때 경제현상
가계 : 수입 물가 하락 -> 가처분소득 증가해 소비 증가
기업 : 해외매출 감소 -> 외국인 투자 자금 이탈 (환율 상승 압력) -> 가처분 소득 줄어 수요 증가 상쇄
국가 : 매수개입 -> 외환보유액 증가
환율 확인
선물 환율 - 스왑 포인트 = 현물환율
.증권사 HTS에서 선물환율 확인 가능
'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 재료 (0) | 2020.06.09 |
---|---|
환율의 보이지 않는 손 (0) | 2020.06.08 |
경제뉴스에 돈 있다. (0) | 2020.05.05 |
독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야마구치 슈 (0) | 2020.02.11 |
1만 시간의 법칙 (0) | 2020.01.08 |